우리는 환원운동이 한두 사람의 작품이 아니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환원의 원리들은 여러 지역의 많은 사람들, 다시 말하면, 그들이 소속해
있던 여러 개신교 교파들의 속박에 만족할 수 없었던 사람들을 통해서 시작되었다.
환원운동을 잘못 알고 왔던 사람들은 토마스와 알렉산더 캠벨
부자가 환원운동을 시작하였고, 이끌고 왔으며,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미 제임스 오켈리, 라이스 해가드, 아브너 존스, 엘리아스
스미스, 발톤 스톤이 이 운동에 기여했던 공헌들에 대해서 공부하였다.
토마스와 알렉산더 캠벨 부자의 영향력이 과소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그들은 높은 학식과 깊은 영성 그리고 특출한 지도력 때문에 환원운동의
중요한 "지도자들과 사상가들"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환원운동의 시작과
성장을 그들의 공적으로 돌리는 것은 그들의 두드러진 지도력 때문이다.
이 엄청난 임무를 위한 그들의 준비는 그들이 미국 땅에 발을
내딛기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다. 이 과와 이어지는 과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그들을
위해 예비해 놓으신 사역을 위해서 그들을 준비시킨 중요한 훈련(공식교육과 "입학이
힘든 학교" 모두에서)의 일부를 소개할 것이다. 지금의 이 과에서는 아버지
토마스 캠벨을 다룰 것이고, 이어지는 과에서는 뛰어난 아들 알렉산더의 생애를 좀더
자세하게 다룰 것이다.
토마스
캠벨: 탄생과 초기 생애
토마스 캠벨은 아키발드 캠벨(Archibald Campbell)의 장남이었고,
아래로 제임스(James), 아키발드(Archibald), 그리고 에노스(Enos) 세 명의 동생들이
있었다. 알렉산더 캠벨은 그의 {토마스 캠벨 장로의 회고록}(Memoirs of Elder Thomas
Campbell)에서 그의 아버지의 뿌리를 스코틀랜드 아르가일(Argyle)로 추적해 올라간다.
그의 할아버지에 대해서 알렉산더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나의 할아버지,
아키발드 캠벨은 다이얼레이크 (Dyerlake) 숲 가까운 아일랜드 다운(Down) 군에서
태어난 제임즈 캠벨의 아들이었다. 그는 105살까지 장수하였다.<Alexander Campbell,
Memoirs of Elder Thomas Campbell(Cincinnati, Ohio:
H. S. Bosworth, 1861), p. 7.>
알렉산더는 그의 할아버지가 병역을 마친 후에 "그의
고향으로 돌아가 여생을 보냈다"<Ibid.>고 부언하고 있다. 따라서, 토마스
캠벨은 아일랜드 다운즈(Downs) 군의 다운(Down) 군에서 1763년 2월 1일 태어났다.
그는 "엄한 비판자요, 친절한 교관이며, 헌신적인 학자"로서 묘사되었다.<West,
The Search for the Ancient Order,
I, 40.> 알렉산더는 그의 훈련과 개인적인 영적 활동들에 대해서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의 가족 훈련과 규율은 특별히 교훈적이었고, 성경적이었으며,
엄격하였다. 브라운의 교리문답(Brown's Catechism)과 함께 성경은 줄곧 몇 명뿐인
그의 가족의 매일의 공부와 매일의 암송 교재였다.<Campbell, p. 9.>
토마스의 첫 번째 소망은 교사가 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잠시동안
그는 가르치는 일에 종사하였다. 그러나 오래가지 않아 그의 목표는 바뀌었고, 목회자가
되는 문제를 좀더 진지하게 생각하기 시작하였다. "캠벨은 말씀을 전파하기
위해서 하나님의 부름을 받았다고 그를 믿게 하는 습관적인 경험을 갖고 있었다"고
웨스트는 진술한다.<West, I, p. 39.>
토마스는 잘 훈련된 사람이었다. "캠벨은 대학교와 신학대학원에서
교육을 받았다. 1451년에 세워진 스코틀랜드의 글라스고우 대학교를 3년 간 다녔고,
영국교회에서 성장한 후에 가입했던, 반공민파 분리주의자 장로교회 휘트번(Witburn)
신학대학원에서 5년 동안 공부하였다."고 가렛트는 기술하였다.<Garrett,
p. 132.> 캠벨의 교회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잠시 후에 많은 것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캠벨은 하나님의 섭리를 따라서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그러나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과에서 좀더 살펴보게 될 것이다.
토마스는 반공민파 분리주의자 장로교회의 소속이었다고 기술된다.
이 독특한 종교적 변종이 어떻게 유래했는가에 대한 이야기는 꽤 복잡하다. 그러나
얼 웨스트(Earl West)가 그것을 잘 설명해 놓고 있어서 우리는 그가 쓴 이 부분에
관한 설명에 근거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토마스 캠벨이 그 특이한 장로교회 분파에
소속되었다는 사실이 그의 마음에 종교적인 분열들에 대한 염증을 갖게 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웨스트는 그 분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복음주의 교파에 소속하였다. 그러나 교회내의
지도층은 온건노선을 취하고 있었다. 분열이 조장되고 있었고, 연방의회가 백성들로부터
그들의 설교자들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빼앗고, 성직임명권을 되찾아갔던 1712년에
고조되었다. 같은 이슈에 관해서, 총회는 빈자리가 장로로 채워져야 했을 때, 선출은
"개신교도 장로들인 후계자들"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선포한 결정으로 1731년에
행동을 취하였다. 복음주의자들은 이것을 그들의 권리들을 사실상 양도하고 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에베네제르 에르스킨(Ebenezer Erskine)과 다른
세 사람의 지도아래 강하게 반대하였다. 에르스킨은 즉시 목회사역에서 쫓겨났다.
다음 해에 그와 다른 사람들은 연합 장로회(Associate Presbytery)를 구성하였고,
분열이 태동되었다.
사람들은 새로운 운동에 뒤떨어져 있었다. 총회는 분리주의자
교회가 120개 교회당들과 이전에 스코틀랜드의 기성교회에 소속했던 10만 명의 교인들을
갖고 있다고 1765년에 선언하였다. 1800까지 스코틀랜드에는 200개의 분리주의자
교회들이 있었다. 그러나 분리주의자들의 행운은 오랫동안 길게 지속될 성질의 것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분열은 그들의 특색이었기 때문이다. 1789년에 분리주의자들은
맹세를 하는 시민들의 문제에 관해서 공민파와 반공민파로 나뉘었다. 도시들의 시민들은
그 지역에서 사역하는 종교를 지지하도록 사람들을 묶는 맹세를 요구하였다. 맹세가
불법이라고 생각하였던 사람들은 반공민파들이었다. 분리주의자 교회의 양 분파들은
1799년에 다시 신성연맹과 계약(Solemn League and Covenant)이 친교의 조건이 되어야
하는가의 문제로 새 빛(New Lights)파와 옛 빛(Old Lights)파로 나뉘었다. 토마스 캠벨은 옛 빛 반공민파 분리주의자
장로교회에 소속하였다. 그래서 그는 종교적인 분열에 아주 익숙해 있었다.<West,
I, p. 43>
토마스가 분열된 장로교회에서 겪었던 경험은, 그가 미국에서
새로운 삶을 겪게 되었을 때, 그에게 큰 도움이 되었는데, 이제 그 부분을 살펴보려고
한다.
미국에로의 이주
토마스 캠벨은 건강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의사들이 그에게
항해여행을 권했고, 알렉산더의 권유에 못 이겨 미국으로 건너갔다. 처음에 그는
잠시만 미국에 머물 것으로 생각했던 것 같다. 왜냐하면, "그 나라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아일랜드로 돌아오세요." 라고 알렉산더가 아버지에게 부탁했다고
적고 있기 때문이다.<Ibid.
I, p. 44.> 만약 그의 건강이 호전된다면, 가족도 미국에 건너가 살 것을 기대하였다.
토마스는 44세 때인 1807년 봄에 펜실베니아주에 도착하였고,
도착 즉시 그 특유의 소속 장로교 교단의 북미주 노회(Synod of North America)를
찾아갔다. 알렉산더는 "토마스가 펜실베니아주에 도착했을 때, 노회는 그를
진심으로 영접하였고, 그에게 찰티엘즈 장로회(Presbytery of Chartiers)에 추천하였다."<Alexander
Campbell, Memoirs of Elder Thomas Campbell(Cincinnati,
Ohio: B. S. Bosworth, 1861), p. 10.>고 적고 있다. 토마스는 북미주 노회에
설교자격을 신청하였다. 그는 그의 설교자격증을 서부 펜실베니아주 찰티엘즈 장로회로부터
받고 설교를 시작하였다. 웨스트는 토마스의 초기 미국에서의 활동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토마스 캠벨의 그 다음 2년 간의 삶은 찰티엘즈 장로회의
의사록을 통해서 꽤 쉽게 추적될 수 있다. 의사록들에 캠벨의 이름이 자주 나오기
때문이다. 1807년 5월 16일 토요일의 의사록은 캠벨이 처음으로 찰티엘즈 장로회에
가입되었다고 적고 있다. 1807년 6월 30일과 7월 1일 회의에서, 토마스 캠벨은 7월
둘째와 셋째 주일에 버팔로(Buffalo), 넷째 주일에 마운트 프레전트(Mount Pleasant),
그리고 8월 첫 주일에는 피츠버그(Pittsburg)에 설교를 배정받았다. 그래서 캠벨은
일요일마다 설교하느라 바빴다.<Ibid.,
p. 8.>
토마스는 주의 깊게 성경을 연구하였고, 그것의 중요성을
깨닫기에 이르렀다. 그가 성경을 가르치기 시작하면서 장로교의 특정 교리들을 부인하는
정도에까지 이르렀기 때문에, 1808년 9월 13일 장로회로부터 해임되었다. 한편, 토마스는
1808년에 가족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미국으로 건너오라고 일렀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었다. 우리들은 다음 과에서 알렉산더와 나머지 가족들이 아일랜드를
떠나 미국으로 이주하는 장면을 다루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토마스가 찰티엘즈 장로회와
갈라서는 초기의 모습을 살펴보려고 한다.
"선언과 제언"
토마스 캠벨의 "선언과 제언"은 환원운동에 중대한
영향을 끼칠 문서였다. 토마스가 장로회와 겪는 갈등은 짧은 글로 다 설명될 수 없다.
그래서 여기서는 웨스트의 책에 설명된 이야기들을 간략하게 요약해서 소개하고자
한다.<Ibid. I, p. 44ff. 웨스트는 토마스가 찰티엘즈 장로회와 갈라서면서 누적되는
수개월간의 사건들을 매우 간결한 방법으로 요약하고 있다. 이 책에 인용된 그의
글들은 허락을 받고 옮긴 것들임을 밝힌다.> 1807년 10월 27일, 토마스는 "신조들과
신앙고백서들은 단지 인위적인 권위일 뿐이다."고 가르치고 있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는 이 비난들을 해명하려고 했지만, 그의 고소인들은 요지부동이었다. 1808년 2월
9일, 그는 회의석상에 나타났다. 웨스트는 그의 해명에 관한 다음과 같은 선별된
자료를 제공한다.
믿음에 관해서, 본인은 사람의 영혼이 그것의 주제라는 것을
믿는다. 하나님의 영은 그것의 저자이시다. 하나님의 말씀은 그것의 규칙과 근거이다.
그리스도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분은 그것의 대상이시다. 하나님의 용서, 수용과
도움, 또는 현재의 은혜와 차후의 영광은 그것의 직접적이고 적절하고 공식적인 목적이다.
신앙고백서와 증언들에 관해서, 본인은 교회가 진리를 그와
같이 제시하는 것에 대해서 하나님의 보장을 모두 받으며, 우리의 신앙고백서와 증언은
그러한 목적을 인증한다고 믿는다. 또한 우리들의 증언이 요구하는 한, 그것들을
친교의 조건으로 삼는 것이 정당하고 보장받을만한 것이라고 믿는다. 따라서 나는
결코 그들을 반대해 오지 않았다.<Ibid.,
I, pp. 45-46.>
논쟁은 겨울과 여름 내내 지속되었다. 토마스는 1808년 9월
18일에 찰티엘즈 장로회를 정식으로 탈퇴하였다. 토마스는 그 상황을 놓고 고민하였다.
특히 신앙의 차이가 그의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는 사실로 괴로워했다. 캠벨과 그의
활동에 동조했던 몇몇 사람들이 그 지역에 있었다. 그와 그의 동료들은 펜실베니아주
워싱턴 군에서 가까운 아브라함 알터즈(Abraham Altars)의 집에서 만났고, 토마스는
그들에게 연설하였다. 그는 "우리는 성경이 말하는 곳에서 말하고, 성경이 침묵하는
곳에서 침묵한다."(Where the Bible speaks, we speak; where the Bible is
silent, we are silent.)는 유명한 말로 그의 연설을 마쳤다. 이것은 미래의 환원운동에서
매우 중요한 슬로건이 되었다.
이들 사건들의 결과로서 토마스는 다수의 다른 사람들의 승인과
도움을 받아 교회에서의 분열과 연합에 대해서 그들이 생각하고 있는 입장을 정리하려는
일종의 시도로써 "선언과 제언"을 썼다. 이 중요한 문서는 너무 길어서
우리가 여기에 인용할 수 없지만, 알렉산더 캠벨이 그의 아버지를 회고한 글들 가운데
하나만은 많은 곳에서 발견되어질 것이다.<Alexander Campbell, pp. 25-109.>
아무도 이 문서가 환원운동의 미래에 줄 충격을 알지 못했다. 또 그것이 그의 아들
알렉산더에게 끼친 영향력에 대해서는 다음 과에서 다루게 될 것이다. 그 길은 아직
분명히 나타나지 않았지만, 적어도 이 문서의 작성에 관여했던 사람들만큼은 성경만이
그들의 신앙문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유일한 안내서가 되도록 혼신을 다하였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이 결정은 해가 거듭되는 동안 다툼과 마음의 갈등을 가져다준
원인이 되었다.
레로이 가렛트(Leroy Garrett)는 "선언과 제언"의
주요 원리들을 10가지로 요약하였는데, 그의 요약은 우리가 그 문서의 폭을 감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의 내용은 가렛트가 요약한 10가지를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다.
1. 분열은 무서운 죄악이며, 교회의 임무를 방해한다.
2. 교회 내의 분열에 좀더 민감하게 대처하는 것과 그것들에
대해서 무엇인가를 하는 것은, 아무리 그 일이 극복할 수 없는 일처럼 보일지라도,
그리스도인들의 책임이다.
3. 분열들은, 대부분, 본질들의 문제들에 관한 것이 아니라,
사견의 문제들에 관한 것들이다.
4. 그리스도는 연합의 유일한 근원이며, 그분의 말씀은 유일한
시금석(terms)이다.
5. 교회연합에 대한 소명은 비합리적이지 않고, 그
시기 또한 나쁘지 않다.
6. 예수께서 교회연합을 위해서 기도하셨기 때문에, 적절한
수단이 반드시 강구되어야 한다. 우리는 그것을 해낼 수 있다.
7. 우리는 천국에서 하나로 있을 것이기 때문에, 지상에서도
하나가 되어야 한다.
8. 우리는 피차 교제를 시작해야 하며, 우리자신의 당파에
대한 관심을 줄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연합은 결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연합한다면, 우리들은 승리할 것이다.
9. 전쟁으로 국가들이 황폐해져 있는데, 어떻게 우리가 쪼개진
교회로 남아있을 수 있겠는가?
10. 연합을 위한 우리의 노력은 단지 작은 시작일 뿐이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협조를 구한다. 전체 교회의 집단적인 후원들은 우리에게
성공을 보증할 것이기 때문이다.<Garrett, pp. 146-150.>
비록 이 요약 문들이 "선언과 제언"에 대한 가렛트의
해석들이긴 하지만, 그것들은 그 문서의 정신과 의도를 아주 잘 정리해 주고 있다.
환원운동의 태동
비록 토마스 캠벨이 이 시점에서 환원운동을 실제로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이들 사건들은 해가 거듭되는 동안 일어날 사건들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우리가 이미 공부를 했던 스톤과 다른 사람들을 포함해서 많은 중요한 인물들이 환원운동에서
그들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 가운데서도 알렉산더 캠벨은 눈여겨볼 중요한 인물이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수십 년에 걸쳐 많은 다른 사람들도 환원운동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원운동은 시작되고 있다고 말해야 참으로 옳을 것이다.
토마스 캠벨은 장수하였고, 환원운동이 지속되는 동안 매우
긴밀하게 일하였다. 토마스 캠벨은, 88세 때인 1851년 6월 1일, 베다니 예배당에서
고별설교를 전하였다. 그때 그는 눈이 멀었는데, 펜들톤(W. K. Pendleton)이 그의
설교를 글로 받아 적었다. 본문말씀은 마태복음 23장 37절이었다.
토마스 캠벨은, 그의 91세 생일을 단 한 달 남겨놓은 채,
1854년 1월 4일 수요일에 죽었다. 그의 아들 알렉산더는 그의 사랑하는 아버지에게
다음과 같은 찬사를 보냈다.
그렇게 그분은 평범하게 돌아가셨습니다. 그리고 태양이 자기
위치에서 자주 더 커지는 것처럼, 그분이 공경했고 찬양 받아 마땅하신 구세주의
품안에 영혼을 부드럽게 내어 맡길 때까지, 그렇게 그분은 믿음과 희망과 기쁨과
평화가 넘쳐났습니다.<Alexander Campbell, pp. 232-233.>
결론
이렇게 해서 우리는 토마스 캠벨의 생애를 마감한다. 그의
영향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는 위대하고 선한 사람이었으며, 주님을
사랑하였다. 우리는 그가 어떻게 한 분열된 종교적 상황에 처한 설교자 신분에서
사람들이 성경말씀의 유일한 권위에 복종하도록 요청하는 위치에까지 이르게 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오로지 영원하신 분만이 이 사람의 공적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주님의 대변자였을 뿐 아니라, 환원운동의 가장 위대한 정신들 가운데
하나를 만들어냈고, 또 그의 아들 알렉산더의 인품에서 초창기 미국의 가장 날카로운
정신들 가운데 하나를 생산해 냈다. 우리는 다음 과에서 이 사람 알렉산더와 환원운동사에서
그가 맡았던 역할에 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토의 주제들
1. 토마스 캠벨의 초기 생애가 그에게 그와 다른 환원운동
지도자들이 수행하게 될 위대한 임무를 준비하게 한 방법들을 논의하시오.
2. 토마스 캠벨이 장로교회와 무슨 관계를 가졌으며, 어떻게
장로교회에 염증을 느끼게 되었는가?
3. 찰티엘즈 장로회는 무엇이며, 토마스 캠벨과 무슨 관계에
있었는가?
4. "선언과 제언"은 무엇이며, 그것의 핵심 내용들은
무엇인가?
5. 토마스 캠벨의 생애가 환원운동의 시작에 무슨 영향을
끼쳤는가?
Morris M. Womack, Thirteen
Lessons on Restoration History(Joplin, Missouri:
College Press Publishing Co., 1988), pp. 67-76.
|